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의 가입이 올해를 끝으로 중단된다. 몇 개 되지 않는 소득공제 상품이기 때문에 가입 조건을 충족하는 청년이라면 반드시 가입해둬야 할 상품으로 여겨지고 있다. 오늘은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가입 추천
올해 초 출시된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가 올해를 끝으로 가입이 중단된다.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는 청년 세대의 자산 형성을 위해 한시적으로 시행된 청년 우대형 정책 투자 상품이다. 이 상품은 올해 12월 31일까지만 가입이 가능하다. 뒤에서 이야기하겠지만 근래에 찾아보기 힘든 소득공제 상품이다. 가입 조건을 충족하는 청년이라면 반드시 가입해 두기 바란다.(돈이 없더라도 가입은 해 두자)
우리은행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판매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란?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앞에서 이야기하였지만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는 청년 세대의 자산 형성을 위해 한시적으로 시행된 우대형 정책 투자 상품이다. 청년을 위한 상품들이 많이 출시되었고, 투자금이 많지 않은 청년들이라 어디에 투자할지 고민하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투자금이 없더라도 올해가 가기 전에 청년 소득공제 장기펀드는 꼭 가입하자.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가입조건
가입대상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는 만 19세 이상 만 34세 이하의 국내 거주자는 청년들을 대상으로 한다. 만약, 군 복무를 이행했다면 최대 6년 동안 군 복무 기간을 인정해 준다.
소득
직전 연도 총 급여액 5천만 원 이하이거나 종합소득 3천8백만 원 이하인 사람이 가입 가능하다. 또한, 지난 3년간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이 아니어야 한다.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가입 기간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의 최대 가입 기간은 5년이다. 해당 상품은 최소 3년은 유지해야 페널티가 없으며, 3년 이전에 해지하는 경우 소득공제 감면 세액의 6.6% 추징세가 발생한다.
☞ 무조건 최대 가입 기간 5년으로 개설하기를 추천한다. 3년 이후에는 언제든지 해지가 가능하지 5년으로 가입 후 시장의 흐름을 보고 적절한 시점에 해지하는 전략으로 운영하자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납입한도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의 납입한도는 연간 600만 원까지 가능하다.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혜택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의 혜택으로는 납입액의 40%에 대해 소득공제가 주어진다는 점이다. 앞에서 이야기하였지만 소득공제 상품은 계속 줄고 있기 때문에 가입이 가능하다면 꼭 가입해 둬야 한다. 나중에 소득이 증가하면 소득공제의 절세효과는 더욱 커지기 때문이다.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가입은행
현재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가입이 가능한 시중 은행은 4곳이 있다고 한다. KB국민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IBK 기업은행이라고 한다. 해당 은행에서 판매하고 있는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는 아래 표와 같다.
펀드명 | 특징 |
---|---|
KB 지속가능배당 50 | 국내 배당주 중심 포트폴리오 |
IBK 코스피 200 인덱스 | 코스피200지수 수익률 추종 |
KB 한미대표 성장 | 주가 안정성이 높은 국내 배당주와 미국의 S&P500 지수에 추종 투자 |
우리 중소형 고배당 | 성장성이 높은 국내 중소형주에 투자 |
신한 코리아 롱숏 | 저평가된 종목에 대한 매수 및 고평가된 종목 매도 전략 |
신한 K컬처 청년형 | 미래가치가 높은 국내 문화 콘텐츠와 ESG산업에 투자 |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세제혜택과 단점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세제혜택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를 추천하는 이유는 소득공제 가능 상품이기 때문이다. 해당 상품은 국내 주식 40% 이상을 투자하는 상품으로 실적 배당형이므로 원금 보장은 되지 않는 상품이다. 하지만 매년 납입 한도인 연간 600만 원을 납입한 경우 납입액의 40%인 240만 원에 대한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다. 최근 소득공제 가능한 항목이 계속 줄고 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굉장한 이점이 있는 상품이다. 왜냐면, 소득공제는 과세 표준을 낮출 수 있어 절세에 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단점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는 단점도 있다. 바로 투자 손실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다. 또한 최소 3년이라는 의무 가입 기간이 존재한다는 점이다. 가입 후 3년 이전에 해당 상품을 해지할 경우 감면 세액의 6.6% 추징세가 발생함을 잊지 말자.
'경제 >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좌개설 20일 제한"과 계좌개설 가능일자 확인 (1) | 2023.12.10 |
---|---|
LS머트리얼즈 청약 마감, 경쟁률, 상장일 안내 (2) | 2023.12.08 |
내 보험 확인 방법 알아보자(내가 가입한 보험 가입 내역 확인) (1) | 2023.12.06 |
비트코인 상승 원인과 전망 (크립토윈터는 끝?) (1) | 2023.12.05 |
이자높은 지방은행 예금상품 안내(지방은행 예금금리 인상 중) (1) | 2023.12.04 |